(주)한국유체기계
ABOUT US
회사소개
CEO 인사말
연혁
경영이념
조직도
특허 및 수상
찾아오시는 길
PRODUCTS
제품 분류방법
적용사례
로터리 블로워
터보 블로워
E-BUSINESS
협력회사
국내네트워크
글로벌네트워크
COMMUNITY
공지사항
자료실
FAQ
홈 > COMMUNITY >
FAQ
전체
|
송풍기가 회전되지 않는다.
1. 전원이나 전동기 고장
-> MAIN전원을 확인하고 이상이 없을 시 전동기의 NAME PLATE에 제조사를 확인하여 A/S접수
또는 수리의뢰를 한다.
2. 송풍기 내부에 이물질이 들어 갔다.
-> 이물질이 육안으로 확인되면 제거하고 제거가 되지 않을 시 분해 후 이물질 제거한다.
기계 본체를 분해해야 할 경우 전문 수리점에 의뢰해야 한다.
3. 송풍기 베어링 부분에 오일이 없다. 먼지가 덩어리로 들어 있다. 녹이 붙어 있다.
-> 베어링 상태를 확인하여 사용 유무를 확인한 뒤 사용이 가능한 상태이면 재급유를 하시고 녹이나
이물질 등을 제거하거나 청소를 하여 가동을 한다.
4. 베어링 손상
->
**
전문 수리점에 의뢰하여 베어링 교체작업을 진행한다.
5. 샤프트가 경사되어 임펠러가 사이드커버 및 케이싱에 접촉되어 있다.
->
**
전문 수리점에 의뢰하여 분해 및 수리를 진행한다.
6. 송풍기 내부가 타 붙어 있다.
->
**
전문 수리점에 의뢰하여 분해 및 수리를 진행한다.
|
이상음 발생
1. 내부에 이물질이 들었다.
-> 이물질이 육안으로 확인되면 제거하고 제거가 되지 않을 시 분해 후 이물질 제거한다.
기계 본체를 분해해야 할 경우 전문 수리점에 의뢰해야 한다.
2. 어느 부분에 볼트가 풀렸다.
-> 볼트가 풀린 부분을 점검 하여 볼트를 다시 체결하여 가동한다.
3. 베어링의 마모
->
**
베어링 상태가 축을 흔들어 유격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전문 수리점에 의뢰하여 베어링 교환을 한다.
4. SILENCER의 고정볼트가 풀려 기체가 새는 곳이 있다.
-> 배관 계통을 조사하여 풀린 볼트부분을 모두 점검 하고 볼트체결 조임을 다시 진행한다.
5. GEAR접촉 불량 및 파손
->
**
전문 수리점의 의뢰하여 GEAR조정 및 교체의뢰를 한다.
6. 내부의 마찰
->
**
내부의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한 마찰이 발생 되었을 수 있으니 전문 수리점에 수리 의뢰하여야 한다.
|
진동이 심하다
1. 기초볼트 혹은 송풍기설치 볼트가 풀려 있다.
-> 볼트가 풀려있는 곳을 확인 하여 볼트를 재 체결한다.
2. 설치불량(기초 불량)
-> 설치상태가 정상인지를 확인하여 불량인 경우 재조정을 시행한 뒤 운전이 될 수 있도록 한다.
3. 배관의 지지가 부적합 하다.
-> 배관 지지부가 적합하도록 수정하고 이때 지지부를 추가함에 있어 블로워 본체에 배관하중이 전달되는 구조가 되어서는 안된다.
4. 송풍기와 전동기의 V-PULLEY중심이 불일치함. V-BELT의 인장 불량
-> PULLEY중심을 조정 할 때에는 여러 방향의 수평도를 확인하며 작업을 하고 V-BELT의 인장을 조정한다.
5. 토출측 압력이 너무 높다.
-> BLOWER NAME PLATE에 정격 사양을 확인하고 정격 압력이 될 수 있게 압력을 조정한다.
|
풍량 부족, 압력 미달
1. 흡입측 FILTER가 먼지로 막혀 있다.
-> FILTER를 정해진 분해방법(운전매뉴얼참조)에 의해 분해를 하고 FILTER를 청소 및 세척을 시행한다.
|
토출 압력이 높다. 전류가 과다하며 진동, 이…
1. 토출측 밸브가 잠겨 있다.
-> 토출측 밸브를 완전 오픈하여 정격 압력이 되는지를 확인 한다.
2. 흡입 배관 계통에 막힌 곳이 있다
-> 배관계통을 확인 하고 막힌곳에 청소나 보수작업을 통해 막힌곳을 제거한다.
3. 송풍기나 FLANGE부 및 기타 토출관 계통에서 기체가 새는 곳이 있다.
-> PACKING등에 문제가 있는지 확인을 하고 PACKING은 교환을 하며 배관계통에 새는 곳을 보수를 통해 새는곳이 없도록 조치한다.
4. 안전변이 그대로 열려 있다.
-> 안전변의 압력 조절 볼트를 조절하여 셋팅 압력이 정격압력에 1.1~1.2배가 되도록 셋팅한다.
5. 송풍기내부 간격이 너무 크다.
-> 전문 수리점에 의뢰하여 내부간격 조정을 의뢰한다.
6. 회전수 부족
->
**
먼저 회전수가 부족한 이유를 확인하고 풀리 조절이 필요한 경우 전문 수리점에 의뢰하여 회전수 조정을 의뢰하거나 풀리를 교체 적용한다.
|
전동기의 과부하 및 온도가 높다.
1. 임펠라가 케이싱, 사이드커버 및 임펠러와 상호간 마찰
->
**
내부를 점검하여 접촉 및 마찰 부위가 육안으로 확인되면 전문수리점에 분해 수정 요청한다.
2. 토출관 계통이 막혀 있다.
-> 토출측 배관 계통에 막혀있는 곳을 점검하여 청소나 이물질을 제거하여 가동을 한다.
3. 안전변의 고장
-> 안전변의 압력 조절 볼트를 조절하여도 적정 압력으로 셋팅 되지 않으면 안전변을 A/S의뢰 하거나 교체를 한다.
4. 압력 게이지 고장
-> 압력 게이지는 소모품이며 수리 또는 새제품으로 교환을 한다.
|
누유 현상 발생
1. 기어 커버 결합부의 패킹파손
-> 패킹이 파손된 것으로 확인되면 패킹을 교환하고 운전한다.구매는 대리점을 통하여 구매를 한다.
2. 전류계의 고장
-> 전류계의 고장 유무를 확인 한뒤 교체 또는 수정을 한다.
3. 토출 압력이 시방보다 높다.
-> 토출측 배관의 밸브를 완전 오픈 하고도 정격 압력 이내로 떨어지지 않으면 배관의 압력 손실부분이 많이 발생하는 원인일 수 있으니 정확한 배관의 원인조사가 필요하다.
4. 수냉식인 경우 냉각수가 없다.
-> 냉각수를 정상적으로 공급 하기위한 라인을 연결하고 정상 가동 시 냉각수가 공급 될 수 있도록 한다.
5. 그리스와 윤활유의 부족 및 유통작용이 안됨
-> 그리스 및 윤활유는 주기적으로 보충 및 교환을 해야 하며 유통 작용 안되는 것으로 확인되면 전문 수리점에 수리를 의뢰한다.
|
동파현상
1. 냉각수 동결
-> 겨울에는 냉각수가 동파에 우려가 있으니 반드시 냉각수를 완전히 빼주시기 바랍니다.
2. 유면계 체결 볼트가 풀렸다.
-> 테프론 태핑을 사용하거나 패킹을 감은 후 유면계를 체결하여 풀림을 방지하고 운전을한다.
3. 오일씰 마모
->
**
오일씰은 소모품이며 마모된 것으로 확인되면 전문 수리점에 의뢰하여 오일씰을 교체하여 운전 한다.
4. 오일 콕크가 진동으로 풀렸다.
-> 오일 주입량을 확인하여 부족시 보충을 하고 드레인콕을 적절하게 체결을 유지하도록 테핑을 하여
체결한다.
5. 과다 주유
-> 오일레벨이 적절한 높이인지(유면계에 마킹 한계선)를 확인하고 운전을 한다.
한계선의 확인은 기계가 정지시 확인을 한다